'레인저'라는 용어에는 순찰자, 정찰대, 특공대를 비롯한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레인저'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군대에서 '레인저'를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북미 식민주의자들과 북미 원주민 간에 국경전이 일어났을 무렵이었습니다. 원주민들은 길이 없는 숲과 습지대에서의 '변칙적인' 전투에 능했습니다. 1676년에 일어난 필립 왕의 전쟁 당시 플리머스 식민지의 총독으로부터 원주민들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은 벤저민 처치 대령은 적군과 동일한 전술을 사용하는 부대를 창설했습니다. 미국독립혁명이 일어났을 때에는 여러 개의 특공대가 영국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고 있었고, 영국인들은 식민지군이 사용한 매복, 급습, 폭파, 저격 등의 방식에 대해 엄청난 불평을 늘어 놓았습니다. 미군의 '레인저 핸드북'을 보면 이후로도 크게 바뀐 점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레인저'라는 용어에는 순찰자, 정찰대, 특공대를 비롯한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레인저'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군대에서 '레인저'를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북미 식민주의자들과 북미 원주민 간에 국경전이 일어났을 무렵이었습니다. 원주민들은 길이 없는 숲과 습지대에서의 '변칙적인' 전투에 능했습니다. 1676년에 일어난 필립 왕의 전쟁 당시 플리머스 식민지의 총독으로부터 원주민들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은 벤저민 처치 대령은 적군과 동일한 전술을 사용하는 부대를 창설했습니다. 미국독립혁명이 일어났을 때에는 여러 개의 특공대가 영국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고 있었고, 영국인들은 식민지군이 사용한 매복, 급습, 폭파, 저격 등의 방식에 대해 엄청난 불평을 늘어 놓았습니다. 미군의 '레인저 핸드북'을 보면 이후로도 크게 바뀐 점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