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갑병을 대체하는 노르웨이 특유의 중세 시대 근접 유닛입니다. 이 유닛이 적 영토에서 턴을 시작하는 경우 이동력이 4가 됩니다. 공격 시 전투력 +10을 획득하고, 근접 공격을 상대로 방어 시 전투력 -5가 적용됩니다.
역사적 배경
고대 노르드어로 작성된 여러 문헌의 기록에 따르면 광전사(Ulfheonar, '오딘의 특별한 전사')는 '제어할 수 없는 최면 상태'로 전투에 임한 바이킹족을 지칭했다고 합니다. 또한, 다른 대하소설을 보면 늑대 가죽을 두른 광전사가 갑옷을 버리고 웃통을 드러낸 채로 적진을 향해 돌격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지옥개 마냥 광포하여 방패를 물고 병사를 학살했지만 불이나 철검으로는 이들을 막아낼 수 없었다'고 전해집니다. 이는 재미를 쫓는 다른 고대 북유럽인들에게도 아주 인상적인 주제였습니다. 하랄 페어헤어는 서기 800년경에 광전사를 특공대로 활용했다고 하며, 다른 노르웨이 국왕들은 용감무쌍하기로 소문난 광전사를 왕실 근위대로 고용하여 정적을 견제했다고 합니다. 경건한 기독교인들은 '주여, 노르인의 분노로부터 우리를 구원하소서'라고 부르짖었습니다.
중갑병을 대체하는 노르웨이 특유의 중세 시대 근접 유닛입니다. 이 유닛이 적 영토에서 턴을 시작하는 경우 이동력이 4가 됩니다. 공격 시 전투력 +10을 획득하고, 근접 공격을 상대로 방어 시 전투력 -5가 적용됩니다.
역사적 배경
고대 노르드어로 작성된 여러 문헌의 기록에 따르면 광전사(Ulfheonar, '오딘의 특별한 전사')는 '제어할 수 없는 최면 상태'로 전투에 임한 바이킹족을 지칭했다고 합니다. 또한, 다른 대하소설을 보면 늑대 가죽을 두른 광전사가 갑옷을 버리고 웃통을 드러낸 채로 적진을 향해 돌격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지옥개 마냥 광포하여 방패를 물고 병사를 학살했지만 불이나 철검으로는 이들을 막아낼 수 없었다'고 전해집니다. 이는 재미를 쫓는 다른 고대 북유럽인들에게도 아주 인상적인 주제였습니다. 하랄 페어헤어는 서기 800년경에 광전사를 특공대로 활용했다고 하며, 다른 노르웨이 국왕들은 용감무쌍하기로 소문난 광전사를 왕실 근위대로 고용하여 정적을 견제했다고 합니다. 경건한 기독교인들은 '주여, 노르인의 분노로부터 우리를 구원하소서'라고 부르짖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