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보다 다루기가 간단하여 궁술을 연마할 시간이 없었던 농민이 사용하기에 유용했던 석궁은 화살을 당겨 발사하는 방식에 기반을 둔 교차 형태의 작고 무거운 활이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흔히 빗장식 혹은 쿼렐식이라 부릅니다. 중국 동부에서 발명된 석궁은 기원전 4세기 경의 전국시대 처음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너무도 유명한 '손자병법'에는 무려 두 장에 걸쳐 석궁의 사용에 대한 내용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같은 시기에는 그리스에서도 초기 석궁 형태의 무기가 등장했으며 로마인들도 이를 자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석궁이 유럽의 전장을 지배하기 시작한 것은 중세시대였습니다. 마찬가지로 별다른 훈련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장창과 석궁으로 무장한 석궁 사수들은 온갖 위협을 제압할 수 있었습니다. 석궁의 유일한 단점이라면 제작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소총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석궁만큼 농민들이 이용하기에 좋은 무기가 없었습니다.
활보다 다루기가 간단하여 궁술을 연마할 시간이 없었던 농민이 사용하기에 유용했던 석궁은 화살을 당겨 발사하는 방식에 기반을 둔 교차 형태의 작고 무거운 활이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흔히 빗장식 혹은 쿼렐식이라 부릅니다. 중국 동부에서 발명된 석궁은 기원전 4세기 경의 전국시대 처음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너무도 유명한 '손자병법'에는 무려 두 장에 걸쳐 석궁의 사용에 대한 내용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같은 시기에는 그리스에서도 초기 석궁 형태의 무기가 등장했으며 로마인들도 이를 자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석궁이 유럽의 전장을 지배하기 시작한 것은 중세시대였습니다. 마찬가지로 별다른 훈련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장창과 석궁으로 무장한 석궁 사수들은 온갖 위협을 제압할 수 있었습니다. 석궁의 유일한 단점이라면 제작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소총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석궁만큼 농민들이 이용하기에 좋은 무기가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