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발의 화살로 갑옷을 착용한 병사를 막을 수 있다면 빠르게 날아가는 조그만 납공이 갑옷을 뚫고 살을 파고들었을 때 어떠한 피해를 초래할지 쉽게 상상할 수 있습니다. 1700년대 초에는 다루기 까다로운 아쿼버스 대신 머스킷이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머스킷은 화승식 또는 장탄식으로 격발되는 전장식 활강총이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영국의 '레드코트'가 1722년부터 1838년까지 사용한 '브라운 베스'가 있습니다. 물론 전 세계의 변방 정착민들 또한 머스킷을 사용하여 동물을 사냥하고 자신들을 보호하며 원주민들을 학살했지만, 군사 전술이 진화하여 머스킷을 대량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유럽에서 전쟁이 한창 일어나고 있을 때였습니다. 중국에서는 손대포가 머스킷으로 진화했고 명나라와 청나라에서는 이를 광범위하게 활용했지만, 정작 머스킷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한 이들은 분쟁 중이었던 유럽인들과 오스만인들이었으며, 당시의 모든 정예 부대원이 머스킷으로 무장하였습니다.
한 발의 화살로 갑옷을 착용한 병사를 막을 수 있다면 빠르게 날아가는 조그만 납공이 갑옷을 뚫고 살을 파고들었을 때 어떠한 피해를 초래할지 쉽게 상상할 수 있습니다. 1700년대 초에는 다루기 까다로운 아쿼버스 대신 머스킷이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머스킷은 화승식 또는 장탄식으로 격발되는 전장식 활강총이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영국의 '레드코트'가 1722년부터 1838년까지 사용한 '브라운 베스'가 있습니다. 물론 전 세계의 변방 정착민들 또한 머스킷을 사용하여 동물을 사냥하고 자신들을 보호하며 원주민들을 학살했지만, 군사 전술이 진화하여 머스킷을 대량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유럽에서 전쟁이 한창 일어나고 있을 때였습니다. 중국에서는 손대포가 머스킷으로 진화했고 명나라와 청나라에서는 이를 광범위하게 활용했지만, 정작 머스킷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한 이들은 분쟁 중이었던 유럽인들과 오스만인들이었으며, 당시의 모든 정예 부대원이 머스킷으로 무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