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2를 제공합니다. 강 옆에 지으면 문화 +1을 제공합니다. 언덕에 지을 수 없지만, 범람원엔 지을 수 있습니다.
역사적 배경
이집트인들이 나일 강을 따라 피라미드를 건설하는 동안 아카드인, 수메르인, 엘람인, 바벨로니아인과 아시리아인들은 메소포타미아 전역에 걸쳐 지구라트를 올리고 있었습니다. 지구라트란 계단식 피라미드를 의미하며 위쪽을 평평하게 만들어 신전을 올릴 수도 있었습니다. 가장 오래된 지구라트는 초기왕조시대(기원전 2900~2400년경)에, 가장 최근에 발견된 지구라트는 기원전 600년경에 건축되었습니다. 중앙에는 태양에 그을린 벽돌이 사용되었고 그 앞에는 불로 구워 견고성을 높인 벽돌을 쌓았습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달리 지구라트는 단단한 경우가 일반적이며 정상에는 신의 마음을 달래기 위한 여러 개의 신전과 사원이 올라갔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신전이나 사원은 전쟁, 지진과 종교 분쟁으로 전부 파괴되었지만 당시의 수많은 벽돌 더미는 아직까지 보전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는 바벨탑 전설의 모태가 된 마르두크 신에게 바친 바빌론의 지구라트를 비롯한 다수의 '거대한' 지구라트가 존재했습니다.
과학 +2를 제공합니다. 강 옆에 지으면 문화 +1을 제공합니다. 언덕에 지을 수 없지만, 범람원엔 지을 수 있습니다.
역사적 배경
이집트인들이 나일 강을 따라 피라미드를 건설하는 동안 아카드인, 수메르인, 엘람인, 바벨로니아인과 아시리아인들은 메소포타미아 전역에 걸쳐 지구라트를 올리고 있었습니다. 지구라트란 계단식 피라미드를 의미하며 위쪽을 평평하게 만들어 신전을 올릴 수도 있었습니다. 가장 오래된 지구라트는 초기왕조시대(기원전 2900~2400년경)에, 가장 최근에 발견된 지구라트는 기원전 600년경에 건축되었습니다. 중앙에는 태양에 그을린 벽돌이 사용되었고 그 앞에는 불로 구워 견고성을 높인 벽돌을 쌓았습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달리 지구라트는 단단한 경우가 일반적이며 정상에는 신의 마음을 달래기 위한 여러 개의 신전과 사원이 올라갔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신전이나 사원은 전쟁, 지진과 종교 분쟁으로 전부 파괴되었지만 당시의 수많은 벽돌 더미는 아직까지 보전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는 바벨탑 전설의 모태가 된 마르두크 신에게 바친 바빌론의 지구라트를 비롯한 다수의 '거대한' 지구라트가 존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