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컨셉
문명/지도자
도시 국가
특수지구
건물
불가사의 및 프로젝트
유닛
유닛 진급
위인
기술
사회 제도
정부 및 정책
종교
지형 및 지형 특성
자원
시설 및 교역로
총독
역사적 순간
마천루
설명
모든 불가사의 건설에 대한 생산력 +15%.
역사적 배경
산업혁명 이전까지는 6층 이상의 모든 건물이 '불가사의'로 간주되었으며, 이렇게 거대한 건물을 보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1797년에 건축된 슈루즈버리의 플렉스밀은 '고층건물의 시조'로 알려져 있으며, 이 5층 규모의 벽돌 건물을 지지하기 위해 주철 기둥과 보가 사용되었습니다. 60년 후에는 엘리샤 오티스가 '안전' 승강기를 발명했고 건축가들은 더욱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1885년에는 시카고에서 홈 인슈어런스 빌딩이라는 10층 건물이 선을 보였고, 여기에는 현대 고층건물의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는 철골, 내화재, 승강기와 전기 배선이 모두 사용되었습니다. 비록 하늘에 닿기에는 부족하겠지만 이러한 고층건물 중 일부는 두바이의 부르즈 할리파(약 830미터)와 같이 상당한 높이를 자랑하기도 합니다.
PortraitSquare
icon_policy_skyscrapers

요구사항

사회 제도
PortraitSquare
icon_policy_skyscrapers
설명
모든 불가사의 건설에 대한 생산력 +15%.
역사적 배경
산업혁명 이전까지는 6층 이상의 모든 건물이 '불가사의'로 간주되었으며, 이렇게 거대한 건물을 보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1797년에 건축된 슈루즈버리의 플렉스밀은 '고층건물의 시조'로 알려져 있으며, 이 5층 규모의 벽돌 건물을 지지하기 위해 주철 기둥과 보가 사용되었습니다. 60년 후에는 엘리샤 오티스가 '안전' 승강기를 발명했고 건축가들은 더욱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1885년에는 시카고에서 홈 인슈어런스 빌딩이라는 10층 건물이 선을 보였고, 여기에는 현대 고층건물의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는 철골, 내화재, 승강기와 전기 배선이 모두 사용되었습니다. 비록 하늘에 닿기에는 부족하겠지만 이러한 고층건물 중 일부는 두바이의 부르즈 할리파(약 830미터)와 같이 상당한 높이를 자랑하기도 합니다.

요구사항

사회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