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의 소유 개념이 인류에 뿌리잡기 시작하면서부터 토지의 경계를 긋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매년 나일 강 주변에서 발생하는 홍수 이후에 다시 경계를 그을 수 있도록 매듭을 지은 밧줄을 이용한 단순한 기하학을 활용했습니다. 토지 측량사 역시 오늘날의 관광객들이 그리도 경외하는 옛 기념비의 공사에 투입되었으며, 못과 밧줄을 사용하여 스톤헨지와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쌓았습니다. 263년에는 유휘라는 중국인이 저서를 통해 측량 방식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토지 측량을 전문 직업으로 처음 인정한 이들은 로마인들이었습니다. 로마인들은 토지 측량사를 그라마티시(Gromatici)라 불렀으며, 이 이름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시대에 고안된 그로마라는 도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토지의 소유 개념이 인류에 뿌리잡기 시작하면서부터 토지의 경계를 긋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매년 나일 강 주변에서 발생하는 홍수 이후에 다시 경계를 그을 수 있도록 매듭을 지은 밧줄을 이용한 단순한 기하학을 활용했습니다. 토지 측량사 역시 오늘날의 관광객들이 그리도 경외하는 옛 기념비의 공사에 투입되었으며, 못과 밧줄을 사용하여 스톤헨지와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쌓았습니다. 263년에는 유휘라는 중국인이 저서를 통해 측량 방식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토지 측량을 전문 직업으로 처음 인정한 이들은 로마인들이었습니다. 로마인들은 토지 측량사를 그라마티시(Gromatici)라 불렀으며, 이 이름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시대에 고안된 그로마라는 도구에서 유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