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컨셉
문명/지도자
도시 국가
특수지구
건물
불가사의 및 프로젝트
유닛
유닛 진급
위인
기술
사회 제도
정부 및 정책
종교
지형 및 지형 특성
자원
시설 및 교역로
총독
역사적 순간
요하네스버그
특유 능력

산업 도시 국가

사절 1개: 불가사의, 건물 및 특수지구 건설 시, 수도에 생산력 +2.
사절 3개: 불가사의, 건물 및 특수지구 건설 시, 작업장 건물이 있는 모든 도시에 생산력 +2.
사절 6개: 불가사의, 건물 및 특수지구 건설 시, 공장 건물이 있는 모든 도시에 생산력 +2.

요하네스버그 종주국 보너스

도시가 향상된 자원 유형당 생산력 +1을 얻습니다. 산업화 후에는 생산력 +2를 얻습니다.

역사적 배경
요하네스버그의 이야기는 부와 갈등의 이야기입니다. 요하네스버그가 정착한 토지에는 인류가 수백만 년간 존재했으며, 근래에는 산족, 소토츠와나족, 여타 아프리카인들이 점령했습니다. 하지만 네덜란드, 그 후 영국이 지역에 출몰하면서, 유럽 제국들의 쇄도는 남아프리카를 영원히 뒤바꿨습니다. 후자가 전자를 몰아내자, 네덜란드 개척자들은 북부의 남아프리카 내륙으로 이동해 내륙 깊은 곳에 정착했습니다. 그리고 한 개척자가 1880년대에 요하네스버그가 된 땅에서 비트바테르스란트 금광을 발견했습니다.

이 이후로 탐사자들이 금을 찾아 지역에 모이고, 대지주들이 영토 지배권을 찾고, 남아프리카 전역의 노동자들이 광산에서 일자리를 찾으면서 도시는 급격히 번성했습니다. 광부, 폭력배, 그리고 줄루족이 지배했던 세탁업계를 비롯한 온갖 지역에서 온 인간군상들이 모인 거친 장소였습니다. 네덜란드계 아프리카너와 영국 개척자들이 성장하는 도시에 이름을 붙였지만('요하네스'는 당시 가장 인기 많은 네덜란드 이름이었음), 인구 대부분은 아프리카인이었습니다.

당시 이 지역은 제1차 보어 전쟁 때 영국 확장에 저항하고 독립 공화국으로서 잠시 존재했던 보어(네덜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인 트란스발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제2차 보어 전쟁 때는 제국에 대항하지 못했고, 그 결과로 요하네스버그의 인구가 줄고 중국인 지역 사회가 건설되었습니다.

광산에 대한 주목은 요하네스버그의 특징이었습니다. 아프리카 흑인 광부들의 정착지인 소웨토는 수도와 크기가 대등하거나 추월할 정도로 성장했으며, 1948년에 도입된 인종주의적 아파르트헤이트 체제에서 이 광부들의 움직임은 제한되고 권리는 줄어들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흑인 학생들이 아파르트헤이트를 반대하며 행진하는 1976년 소웨토 폭동의 형태로 폭발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경찰은 총을 쐈습니다. 그 결과, 소웨토와 ANC(아프리카 민족 회의)는 아파르트헤이트 저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으며, ANC가 1994년에 집권하며 아파르트헤이트를 끝냈습니다.

오늘날, 요하네스버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가장 큰 도시입니다. 채굴의 중요성은 감소했고, 여전히 광부와 경찰 사이의 갈등이 있지만, 도시는 산업 중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PortraitSquare
icon_civilization_unknown

도시 국가 종류

icon_citystate_industrial
산업 중심
PortraitSquare
icon_civilization_unknown

도시 국가 종류

icon_citystate_industrial
산업 중심
특유 능력

산업 도시 국가

사절 1개: 불가사의, 건물 및 특수지구 건설 시, 수도에 생산력 +2.
사절 3개: 불가사의, 건물 및 특수지구 건설 시, 작업장 건물이 있는 모든 도시에 생산력 +2.
사절 6개: 불가사의, 건물 및 특수지구 건설 시, 공장 건물이 있는 모든 도시에 생산력 +2.

요하네스버그 종주국 보너스

도시가 향상된 자원 유형당 생산력 +1을 얻습니다. 산업화 후에는 생산력 +2를 얻습니다.

역사적 배경
요하네스버그의 이야기는 부와 갈등의 이야기입니다. 요하네스버그가 정착한 토지에는 인류가 수백만 년간 존재했으며, 근래에는 산족, 소토츠와나족, 여타 아프리카인들이 점령했습니다. 하지만 네덜란드, 그 후 영국이 지역에 출몰하면서, 유럽 제국들의 쇄도는 남아프리카를 영원히 뒤바꿨습니다. 후자가 전자를 몰아내자, 네덜란드 개척자들은 북부의 남아프리카 내륙으로 이동해 내륙 깊은 곳에 정착했습니다. 그리고 한 개척자가 1880년대에 요하네스버그가 된 땅에서 비트바테르스란트 금광을 발견했습니다.

이 이후로 탐사자들이 금을 찾아 지역에 모이고, 대지주들이 영토 지배권을 찾고, 남아프리카 전역의 노동자들이 광산에서 일자리를 찾으면서 도시는 급격히 번성했습니다. 광부, 폭력배, 그리고 줄루족이 지배했던 세탁업계를 비롯한 온갖 지역에서 온 인간군상들이 모인 거친 장소였습니다. 네덜란드계 아프리카너와 영국 개척자들이 성장하는 도시에 이름을 붙였지만('요하네스'는 당시 가장 인기 많은 네덜란드 이름이었음), 인구 대부분은 아프리카인이었습니다.

당시 이 지역은 제1차 보어 전쟁 때 영국 확장에 저항하고 독립 공화국으로서 잠시 존재했던 보어(네덜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인 트란스발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제2차 보어 전쟁 때는 제국에 대항하지 못했고, 그 결과로 요하네스버그의 인구가 줄고 중국인 지역 사회가 건설되었습니다.

광산에 대한 주목은 요하네스버그의 특징이었습니다. 아프리카 흑인 광부들의 정착지인 소웨토는 수도와 크기가 대등하거나 추월할 정도로 성장했으며, 1948년에 도입된 인종주의적 아파르트헤이트 체제에서 이 광부들의 움직임은 제한되고 권리는 줄어들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흑인 학생들이 아파르트헤이트를 반대하며 행진하는 1976년 소웨토 폭동의 형태로 폭발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경찰은 총을 쐈습니다. 그 결과, 소웨토와 ANC(아프리카 민족 회의)는 아파르트헤이트 저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으며, ANC가 1994년에 집권하며 아파르트헤이트를 끝냈습니다.

오늘날, 요하네스버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가장 큰 도시입니다. 채굴의 중요성은 감소했고, 여전히 광부와 경찰 사이의 갈등이 있지만, 도시는 산업 중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