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2년에 콜럼버스를 호위하여 바다로 나간 스페인의 사령관, 이니고 아리에타는 'corredoras extremadas, buenas para descubrir tierras'라는 말로 캐러벨선을 정의했습니다. 니냐와 핀타는 캐러벨선이었고 콜럼버스는 특히 니냐의 기동성, 속도와 안전성을 극찬했습니다. 15세기에 개발되어 16세기에 광범위하게 활용된 캐러벨선은 경사진 뱃머리, 높은 뒷갑판, 큰 삼각돛과 뒷돛대를 갖춘 쾌속 범선이었습니다. 캐러벨선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원래의 디자인은 이베리아에서 초기에 이용하던 어선과 지중해를 누비던 아랍의 카리브선이 혼합된 형태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범선과 달리 작고 가벼운 홀수선이었던 캐러벨선은 대항해 시대의 유럽인들이 처음 마주하게 된 수많은 해안과 강을 누비기에 이상적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유럽을 처음 접하는 과정에서 목격하게 된 광경은 해안에서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는 캐러벨선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콩키스타도르의 탐험가들에 이어 정복자, 사제, 모험가, 상인과 정착민들이 들어오기 시작했고, 소박하고 작은 캐러벨선은 전 세계에 정복을 확산시켰습니다.
1492년에 콜럼버스를 호위하여 바다로 나간 스페인의 사령관, 이니고 아리에타는 'corredoras extremadas, buenas para descubrir tierras'라는 말로 캐러벨선을 정의했습니다. 니냐와 핀타는 캐러벨선이었고 콜럼버스는 특히 니냐의 기동성, 속도와 안전성을 극찬했습니다. 15세기에 개발되어 16세기에 광범위하게 활용된 캐러벨선은 경사진 뱃머리, 높은 뒷갑판, 큰 삼각돛과 뒷돛대를 갖춘 쾌속 범선이었습니다. 캐러벨선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원래의 디자인은 이베리아에서 초기에 이용하던 어선과 지중해를 누비던 아랍의 카리브선이 혼합된 형태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범선과 달리 작고 가벼운 홀수선이었던 캐러벨선은 대항해 시대의 유럽인들이 처음 마주하게 된 수많은 해안과 강을 누비기에 이상적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유럽을 처음 접하는 과정에서 목격하게 된 광경은 해안에서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는 캐러벨선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콩키스타도르의 탐험가들에 이어 정복자, 사제, 모험가, 상인과 정착민들이 들어오기 시작했고, 소박하고 작은 캐러벨선은 전 세계에 정복을 확산시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