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릉지 부족은 주로 언덕이 있는 개활지에 전초기지를 세웁니다. 이들은 근접 유닛을 매우 선호하며, 원거리 유닛을 거의 배제하다시피 합니다.
역사
오늘날의 버마, 라오스와 인접 국가까지 이어지는 히말라야 산맥에서 현지의 왕국들은 구릉지와 계곡의 두 부류로 나뉘었습니다. 계곡 사람에는 샨, 타이, 버마, 라오가 포함되며 이들은 왕국의 지배를 따르며 쌀을 경작하는 불교 신도였습니다. 반면 아카, 몽, 미엔, 카친 등 고지대에 사는 구릉지 사람들은 근채류를 키우며 누구의 지배도 받지 않는 물활론자였습니다. 이 구분은 사람들의 정치적, 종교적, 경제적 세계를 갈라놓았지만 그리 엄격한 구분은 아니었습니다. 계곡에 살던 사람이 왕의 지배를 피해 구릉지로 갈 수 있었고, 구릉지에 살던 사람이 도시 생활에 끌려 저지대 계곡으로 내려갈 수도 있었습니다.
때때로 이들은 평화적인 분위기 속에서 교역을 가졌습니다. 구릉지 사람들은 소금과 은을, 저지대 사람들은 가공품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몹시 불안한 평화였습니다. 저지대 국가는 고지대 부족을 습격했고(라오스어로 고지대 사람을 '카'라고 불렀는데, 이는 '노예'와 동의어임이 입증되었습니다), 고지대 사람도 원하는 물건을 얻기 위해 저지대 사람과의 교역을 끊고 습격하기도 했습니다. 고지대 주민이 상당한 악명을 쌓은 경우도 있습니다. 버마의 와족을 살펴보면, 적들의 머리를 마을 밖에 전시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는 와족 전사의 기량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와족 마을의 수호령들에게 힘을 비는 행위기도 했습니다. 세월이 지나서 이들 고지대 사람들은 자기 권리를 챙기기 위한 정치적 활동에 나섰습니다. 저지대 사람들에게 맞서고 자신만의 치세를 누리려는 이들은 시대에 따라 동반자가 달라지는데, 식민지 시대에는 대영제국군과 함께하고 냉전 시대에는 미군과 함께한 것이 그러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구릉지 부족은 야만인 부족 모드에서 등장하는 부족 유형 중 하나입니다.
구릉지 부족은 주로 언덕이 있는 개활지에 전초기지를 세웁니다. 이들은 근접 유닛을 매우 선호하며, 원거리 유닛을 거의 배제하다시피 합니다.
역사
오늘날의 버마, 라오스와 인접 국가까지 이어지는 히말라야 산맥에서 현지의 왕국들은 구릉지와 계곡의 두 부류로 나뉘었습니다. 계곡 사람에는 샨, 타이, 버마, 라오가 포함되며 이들은 왕국의 지배를 따르며 쌀을 경작하는 불교 신도였습니다. 반면 아카, 몽, 미엔, 카친 등 고지대에 사는 구릉지 사람들은 근채류를 키우며 누구의 지배도 받지 않는 물활론자였습니다. 이 구분은 사람들의 정치적, 종교적, 경제적 세계를 갈라놓았지만 그리 엄격한 구분은 아니었습니다. 계곡에 살던 사람이 왕의 지배를 피해 구릉지로 갈 수 있었고, 구릉지에 살던 사람이 도시 생활에 끌려 저지대 계곡으로 내려갈 수도 있었습니다.
때때로 이들은 평화적인 분위기 속에서 교역을 가졌습니다. 구릉지 사람들은 소금과 은을, 저지대 사람들은 가공품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몹시 불안한 평화였습니다. 저지대 국가는 고지대 부족을 습격했고(라오스어로 고지대 사람을 '카'라고 불렀는데, 이는 '노예'와 동의어임이 입증되었습니다), 고지대 사람도 원하는 물건을 얻기 위해 저지대 사람과의 교역을 끊고 습격하기도 했습니다. 고지대 주민이 상당한 악명을 쌓은 경우도 있습니다. 버마의 와족을 살펴보면, 적들의 머리를 마을 밖에 전시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는 와족 전사의 기량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와족 마을의 수호령들에게 힘을 비는 행위기도 했습니다. 세월이 지나서 이들 고지대 사람들은 자기 권리를 챙기기 위한 정치적 활동에 나섰습니다. 저지대 사람들에게 맞서고 자신만의 치세를 누리려는 이들은 시대에 따라 동반자가 달라지는데, 식민지 시대에는 대영제국군과 함께하고 냉전 시대에는 미군과 함께한 것이 그러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