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 유닛 1개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합니다. 제국 전체에 관광이 +25% 증가합니다.
역사적 배경
컴퓨터를 단순히 연산에 도움을 주는 장치로만 생각한다면 이러한 장치는 수천 년 전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이르면 기원전 2400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주판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물론 손가락을 이용한 계산법도 예로 들 수는 있겠지만 이는 근대 문명과 비교했을 때 너무 단순합니다. 달력 계산 기능을 갖춘 기계식 아스트롤라베는 1235년에 페르시아의 아부 바크르가 고안해 냈으며 계산자는 1620년경에 개발되었습니다. 켈빈 경은 1876년에 처음으로 기계식 아날로그 계산기인 '미분 해석기'를 제시했으며, 1920년대에는 바네바 부시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이러한 기계를 제작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컴퓨터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단순한 고성능 계산기 정도의 장치로 여깁니다. '컴퓨터의 아버지'라 불리는 영국의 찰스 배비지는 1833년에 처음으로 비슷한 형태의 장치를 고안해 냈으며 이는 거의 100년이 앞선 시점이었습니다. 그가 만든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식 컴퓨터'에는 천공 카드, 인쇄기, 연산 논리 장치, 조건 분기 기능은 물론 통합형 메모리와 비슷한 장치까지 탑재되었으며 오늘날의 컴퓨터 애호가라면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수준의 장치였습니다.
'컴퓨터 시대'의 도래를 가져온 것은 전기의 발명이었습니다. '컴퓨터 과학자' 겸 수학자였던 선구자 앨런 튜링의 원칙은 원래 그가 1936년에 발표한 '계산 가능한 수에 관하여(On Computable Numbers)'라는 논문에 명시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여러 참전국에서 그의 통찰력을 실현화하여 적군의 암호를 해독하고 적기를 격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는데, 대부분의 기술자들은 기계식 스위치 대신 전기와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자신들이 개발한 놀라운 기계에 'ABC', '콜로서스'(최초의 디지털 프로그래밍 방식 컴퓨터) 및 '에니악' 등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특히 1946년에 개발된 에니악은 1초에 5,000건의 덧셈이나 뺄셈을 수행할 수 있는 최초의 '튜링 완전' 기계였습니다.
이후로 양극성 트랜지스터, 집적회로, 반도체와 수많은 사상가들의 노력 덕분에 컴퓨터의 속도와 휴대성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연구, 제조, 전쟁에서 엔터테인먼트에 이르는 각종 인적 분야에서 컴퓨터가 응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HAL 9000과 스카이넷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인간은 실수할 수 있지만, 정말로 일을 망치려면 컴퓨터가 필요하다." – 파울 R. 에를리히
"컴퓨터의 좋은 점은 사용자가 시키는 대로 한다는 점이지. 물론 나쁜 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시키는 대로 한다는 점이라네." – 테드 넬슨
스파이 유닛 1개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합니다. 제국 전체에 관광이 +25% 증가합니다.
역사적 배경
컴퓨터를 단순히 연산에 도움을 주는 장치로만 생각한다면 이러한 장치는 수천 년 전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이르면 기원전 2400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주판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물론 손가락을 이용한 계산법도 예로 들 수는 있겠지만 이는 근대 문명과 비교했을 때 너무 단순합니다. 달력 계산 기능을 갖춘 기계식 아스트롤라베는 1235년에 페르시아의 아부 바크르가 고안해 냈으며 계산자는 1620년경에 개발되었습니다. 켈빈 경은 1876년에 처음으로 기계식 아날로그 계산기인 '미분 해석기'를 제시했으며, 1920년대에는 바네바 부시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이러한 기계를 제작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컴퓨터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단순한 고성능 계산기 정도의 장치로 여깁니다. '컴퓨터의 아버지'라 불리는 영국의 찰스 배비지는 1833년에 처음으로 비슷한 형태의 장치를 고안해 냈으며 이는 거의 100년이 앞선 시점이었습니다. 그가 만든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식 컴퓨터'에는 천공 카드, 인쇄기, 연산 논리 장치, 조건 분기 기능은 물론 통합형 메모리와 비슷한 장치까지 탑재되었으며 오늘날의 컴퓨터 애호가라면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수준의 장치였습니다.
'컴퓨터 시대'의 도래를 가져온 것은 전기의 발명이었습니다. '컴퓨터 과학자' 겸 수학자였던 선구자 앨런 튜링의 원칙은 원래 그가 1936년에 발표한 '계산 가능한 수에 관하여(On Computable Numbers)'라는 논문에 명시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여러 참전국에서 그의 통찰력을 실현화하여 적군의 암호를 해독하고 적기를 격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는데, 대부분의 기술자들은 기계식 스위치 대신 전기와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자신들이 개발한 놀라운 기계에 'ABC', '콜로서스'(최초의 디지털 프로그래밍 방식 컴퓨터) 및 '에니악' 등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특히 1946년에 개발된 에니악은 1초에 5,000건의 덧셈이나 뺄셈을 수행할 수 있는 최초의 '튜링 완전' 기계였습니다.
이후로 양극성 트랜지스터, 집적회로, 반도체와 수많은 사상가들의 노력 덕분에 컴퓨터의 속도와 휴대성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연구, 제조, 전쟁에서 엔터테인먼트에 이르는 각종 인적 분야에서 컴퓨터가 응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HAL 9000과 스카이넷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인간은 실수할 수 있지만, 정말로 일을 망치려면 컴퓨터가 필요하다." – 파울 R. 에를리히
"컴퓨터의 좋은 점은 사용자가 시키는 대로 한다는 점이지. 물론 나쁜 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시키는 대로 한다는 점이라네." – 테드 넬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