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시 시대의 지원 유닛입니다. 도시 근처에 있는 경우 공격하는 근접 및 대기병 유닛이 성벽을 무시하고 바로 도시를 공격할 수 있습니다. 르네상스 성벽을 보유한 도시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도시 방어에 대한 효과가 없습니다.
역사적 배경
끓는 기름이나 돌, 그밖에 뾰족한 물건을 맞으며 성벽에 걸친 사다리를 오르는 병사들의 사기는 바닥으로 떨어질 게 분명하므로 신 아시리아인들은 기원전 9세기경 공성탑을 고안했습니다. 당시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대부분은 진흙으로 만든 벽을 둘러 방어했는데, 공성 병기가 없는 적을 상대로는 충분했지만, 공성탑을 사용했던 아시리아인은 비교적 안전하게 벽을 넘을 수 있었고 이 덕분에 아시리아 제국은 3세기 동안 큰 피해 없이 영토를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역사상 공성탑 같은 병기가 출현할 시기가 되었으므로 곧 다른 문명도 공성탑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기본적인 공성탑은 바퀴가 달린 목제 탑처럼 생겼고 이것을 성벽까지 끌고 가 위에서 널빤지를 던져 이를 밟고 성벽을 넘는 식으로 사용했습니다. 로마 시대에 우수한 장인의 손을 거치며 더욱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변한 공성탑은 화약 무기가 출현하기 전까지 중세 시대 내내 사용되었습니다.
중시 시대의 지원 유닛입니다. 도시 근처에 있는 경우 공격하는 근접 및 대기병 유닛이 성벽을 무시하고 바로 도시를 공격할 수 있습니다. 르네상스 성벽을 보유한 도시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도시 방어에 대한 효과가 없습니다.
역사적 배경
끓는 기름이나 돌, 그밖에 뾰족한 물건을 맞으며 성벽에 걸친 사다리를 오르는 병사들의 사기는 바닥으로 떨어질 게 분명하므로 신 아시리아인들은 기원전 9세기경 공성탑을 고안했습니다. 당시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대부분은 진흙으로 만든 벽을 둘러 방어했는데, 공성 병기가 없는 적을 상대로는 충분했지만, 공성탑을 사용했던 아시리아인은 비교적 안전하게 벽을 넘을 수 있었고 이 덕분에 아시리아 제국은 3세기 동안 큰 피해 없이 영토를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역사상 공성탑 같은 병기가 출현할 시기가 되었으므로 곧 다른 문명도 공성탑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기본적인 공성탑은 바퀴가 달린 목제 탑처럼 생겼고 이것을 성벽까지 끌고 가 위에서 널빤지를 던져 이를 밟고 성벽을 넘는 식으로 사용했습니다. 로마 시대에 우수한 장인의 손을 거치며 더욱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변한 공성탑은 화약 무기가 출현하기 전까지 중세 시대 내내 사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