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상으로 공산주의 이론은 정부 체제보다는 경제 체제에 가깝습니다. 공산주의 이론은 사회에서의 노동과 가치 간의 갈등에 기반합니다. 칼 마르크스는 자신의 저술에서 노동이 가치를 창출하지만, 정작 노동자('프롤레타리아')들은 먹고사는 데 필요한 최저 임금만 지급받는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모든 이윤은 공장(또는 농장, 회사 주식 등 마르크스가 '생산 수단'이라고 지칭하는 것)의 소유주에게 돌아갑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많은 사람이 이것은 도둑질과 같다고 여겼습니다. 노동의 결실이 직접 노동을 하지 않는 공장 소유주('부르주아')에 의해 도난당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공산주의의 개념이 탄생했습니다. '프롤레타리아에 의한 독재'는 노동하는 사람들에 의한 통치, 그리고 노동자들이 자신의 노동 결실을 자유롭게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독재 군주에 의한 '독재'와는 전혀 다른 의미였습니다. 이상적으로 '프롤레타리아'는 결국 '능력에 따라 기여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노동자들, 즉 민주적으로 정부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하게 됩니다(하지만 역사적으로 주요 공산주의 국가에서 민주적 통치가 기능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공산주의 국가들은 이러한 비전을 구현하는 방식에 있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마르크스의 모델은 산업 생산을 기반으로 했지만, 농업 사회에는 어떤 형태로 적용해야 할지 명확하지 않았습니다. 공산주의는 종교를 하층 계급을 억압하는 데 사용되는 농간으로 간주했는데, 신앙에 깊이 의존하는 노동자들과 어떻게 함께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었습니다. 또한 공산주의는 투쟁을 국경과 민족을 초월한 것으로 보았지만, 국제적 통일 개념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는 분열되고 변질되었습니다. 소련은 공산당이라는 엄선된 집단이 이러한 변화를 실행하는 책임을 맡아야 한다는 이념을 도입했으며(현재 베트남 등에서 볼 수 있는 '마르크스-레닌주의'입니다), 추후 이오시프 스탈린이 기존 반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민족주의와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개념을 재도입했습니다. 소련의 발전에 따라 이들은 한층 더 가혹하고 더 엄격한 전술로 반대 의견을 억압하기 시작했습니다. 한편, 중국에서 모택동은 산업 노동자가 아닌 농민이 운동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과 같은 지역의 다른 지도자들은 스탈린의 유산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반대한다고 주장한 파시스트 이데올로기와 구별되지 않는 전체주의 사회를 세웠습니다.
공산주의는 유럽의 식민주의에서 벗어난 많은 국가들에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었습니다. 자본주의 국가들은 '제3세계'에게 서구 기업들이 지배하는 국제 사회로 편입을 약속한 반면, 공산주의 국가들은 구소련의 국가 정치 체제를 따르는 대가로 자립과 자본주의 질서에 대한 저항을 지원했습니다. 그러나 떠오르는 신흥 정치적 통일체에서는 민족주의 역시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식민 정권을 전복시킨 것이 바로 민족적 정서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냉전으로 이어졌습니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대립하는 국제 질서 하에서 중도를 추구하는 국가는 분단되었고, 민주주의적 이상과는 거리가 먼 권위주의적 정권이 탄생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공산주의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최악의 끔찍한 사건은, 캄보디아의 마오주의 정권인 크메르루주가 사회를 유토피아로 재구성하겠다며 벌인 집단 학살입니다. (또 다른 공산주의 국가인) 베트남군이 개입하여 저지할 때까지 이 끔찍한 학살은 계속되었습니다. 공산당은 여전히많은 국가에서 소수 정당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명목상 많은 공산주의 국가들(특히 중국과 베트남)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본주의를 일부 받아들였습니다. 최소한 서류상으로 현존하는 공산주의 국가는 쿠바, 중국, 베트남, 라오스가 있으며 공산주의와 전체주의가 혼합된 북한의 '주체'도 종종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론상으로 공산주의 이론은 정부 체제보다는 경제 체제에 가깝습니다. 공산주의 이론은 사회에서의 노동과 가치 간의 갈등에 기반합니다. 칼 마르크스는 자신의 저술에서 노동이 가치를 창출하지만, 정작 노동자('프롤레타리아')들은 먹고사는 데 필요한 최저 임금만 지급받는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모든 이윤은 공장(또는 농장, 회사 주식 등 마르크스가 '생산 수단'이라고 지칭하는 것)의 소유주에게 돌아갑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많은 사람이 이것은 도둑질과 같다고 여겼습니다. 노동의 결실이 직접 노동을 하지 않는 공장 소유주('부르주아')에 의해 도난당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공산주의의 개념이 탄생했습니다. '프롤레타리아에 의한 독재'는 노동하는 사람들에 의한 통치, 그리고 노동자들이 자신의 노동 결실을 자유롭게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독재 군주에 의한 '독재'와는 전혀 다른 의미였습니다. 이상적으로 '프롤레타리아'는 결국 '능력에 따라 기여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노동자들, 즉 민주적으로 정부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하게 됩니다(하지만 역사적으로 주요 공산주의 국가에서 민주적 통치가 기능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공산주의 국가들은 이러한 비전을 구현하는 방식에 있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마르크스의 모델은 산업 생산을 기반으로 했지만, 농업 사회에는 어떤 형태로 적용해야 할지 명확하지 않았습니다. 공산주의는 종교를 하층 계급을 억압하는 데 사용되는 농간으로 간주했는데, 신앙에 깊이 의존하는 노동자들과 어떻게 함께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었습니다. 또한 공산주의는 투쟁을 국경과 민족을 초월한 것으로 보았지만, 국제적 통일 개념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는 분열되고 변질되었습니다. 소련은 공산당이라는 엄선된 집단이 이러한 변화를 실행하는 책임을 맡아야 한다는 이념을 도입했으며(현재 베트남 등에서 볼 수 있는 '마르크스-레닌주의'입니다), 추후 이오시프 스탈린이 기존 반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민족주의와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개념을 재도입했습니다. 소련의 발전에 따라 이들은 한층 더 가혹하고 더 엄격한 전술로 반대 의견을 억압하기 시작했습니다. 한편, 중국에서 모택동은 산업 노동자가 아닌 농민이 운동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과 같은 지역의 다른 지도자들은 스탈린의 유산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반대한다고 주장한 파시스트 이데올로기와 구별되지 않는 전체주의 사회를 세웠습니다.
공산주의는 유럽의 식민주의에서 벗어난 많은 국가들에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었습니다. 자본주의 국가들은 '제3세계'에게 서구 기업들이 지배하는 국제 사회로 편입을 약속한 반면, 공산주의 국가들은 구소련의 국가 정치 체제를 따르는 대가로 자립과 자본주의 질서에 대한 저항을 지원했습니다. 그러나 떠오르는 신흥 정치적 통일체에서는 민족주의 역시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식민 정권을 전복시킨 것이 바로 민족적 정서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냉전으로 이어졌습니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대립하는 국제 질서 하에서 중도를 추구하는 국가는 분단되었고, 민주주의적 이상과는 거리가 먼 권위주의적 정권이 탄생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공산주의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최악의 끔찍한 사건은, 캄보디아의 마오주의 정권인 크메르루주가 사회를 유토피아로 재구성하겠다며 벌인 집단 학살입니다. (또 다른 공산주의 국가인) 베트남군이 개입하여 저지할 때까지 이 끔찍한 학살은 계속되었습니다. 공산당은 여전히많은 국가에서 소수 정당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명목상 많은 공산주의 국가들(특히 중국과 베트남)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본주의를 일부 받아들였습니다. 최소한 서류상으로 현존하는 공산주의 국가는 쿠바, 중국, 베트남, 라오스가 있으며 공산주의와 전체주의가 혼합된 북한의 '주체'도 종종 여기에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