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으로 인해 향상되는 보너스 자원이 각각 식량 +1을 얻습니다. 도시는 반드시 강과 인접해야 합니다.
역사적 배경
물레방앗간에서는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물레를 회전시킵니다. 이 물레와 맞물린 또 다른 물레는 함께 돌아가며 유용한 각종 물자(곡식, 목재, 직물, 광석, 금속, 종이 등)를 갈거나 방적하거나 자르거나 찧도록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물레방앗간을 제분소(곡물을 가루로 빻는 곳)와 동일시하며, 초기에는 전혀 틀린 생각이 아니었습니다. 그리스의 공학자인 비잔티움의 필로(기원전 280-220년)는 물레방앗간의 원리에 대한 설명을 남겼고 로마 시대의 비트루비우스는 물레방앗간 제작과 관련된 최초의 기술서를 제시했습니다. 해당 기술서의 물레방앗간에는 하수식 수차와 기어 장치가 탑재되었습니다. 특히 암흑기에 접어들면서 그 유용성이 극대화된 물레방앗간은 대부분의 정착지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손실된 수많은 지식과는 달리 유럽에서는 수력 제분소의 제작 및 조작에 대한 중요한 기록을 보전할 수 있었습니다. 나중에는 물레방앗간 대신 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증기 동력과 전력을 사용했으며, 지금은 오직 미개인만이 옥수수와 밀을 갈기 위해 실제 물레방앗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농장으로 인해 향상되는 보너스 자원이 각각 식량 +1을 얻습니다. 도시는 반드시 강과 인접해야 합니다.
역사적 배경
물레방앗간에서는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물레를 회전시킵니다. 이 물레와 맞물린 또 다른 물레는 함께 돌아가며 유용한 각종 물자(곡식, 목재, 직물, 광석, 금속, 종이 등)를 갈거나 방적하거나 자르거나 찧도록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물레방앗간을 제분소(곡물을 가루로 빻는 곳)와 동일시하며, 초기에는 전혀 틀린 생각이 아니었습니다. 그리스의 공학자인 비잔티움의 필로(기원전 280-220년)는 물레방앗간의 원리에 대한 설명을 남겼고 로마 시대의 비트루비우스는 물레방앗간 제작과 관련된 최초의 기술서를 제시했습니다. 해당 기술서의 물레방앗간에는 하수식 수차와 기어 장치가 탑재되었습니다. 특히 암흑기에 접어들면서 그 유용성이 극대화된 물레방앗간은 대부분의 정착지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손실된 수많은 지식과는 달리 유럽에서는 수력 제분소의 제작 및 조작에 대한 중요한 기록을 보전할 수 있었습니다. 나중에는 물레방앗간 대신 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증기 동력과 전력을 사용했으며, 지금은 오직 미개인만이 옥수수와 밀을 갈기 위해 실제 물레방앗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