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빌로니아인들이 남긴 기록이 없었다면 공중 정원은 존재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불가사의'라고 불리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게다가 세계의 고대 불가사의와는 달리 공중 정원에 대한 건축적 증거는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공중 정원에 대한 주요 기록은 그리스와 로마에서 발견된 여러 고서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문서에는 공중 정원과 관련된 건설 방식, 건설 목적, 규모와 유형은 물론 관개 방식까지 적혀 있습니다. 고서 내용에 따르면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고향 메디아의 푸른 언덕을 그리워하던 응석받이 아내, 아미티스를 위해 기원전 600년경에 공중 정원을 건축했다고 합니다. 또한 '역사' 관련 문서에는 정원이 흙벽돌로 지은 지구라트 형태의 상승식 테라스였으며 온갖 식물이 있었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건물 지반은 면적이 37제곱미터에 달했으며 전체 구조물이 건조한 공기를 향해 23미터 정도 솟아 있었습니다. 바빌론의 식물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매일 정원에 31,040리터의 물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공중 정원이 실제로 존재했다면, 아마도 서기 1세기 무렵에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장 높은 층은 계단을 통해 도달할 수 있으며, 그 옆에는 물 엔진이 있습니다. 이 엔진에는 특별히 지정된 일꾼이 유프라테스 강물을 정원으로 계속해서 끌어올리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 스트라보
바빌로니아인들이 남긴 기록이 없었다면 공중 정원은 존재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불가사의'라고 불리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게다가 세계의 고대 불가사의와는 달리 공중 정원에 대한 건축적 증거는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공중 정원에 대한 주요 기록은 그리스와 로마에서 발견된 여러 고서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문서에는 공중 정원과 관련된 건설 방식, 건설 목적, 규모와 유형은 물론 관개 방식까지 적혀 있습니다. 고서 내용에 따르면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고향 메디아의 푸른 언덕을 그리워하던 응석받이 아내, 아미티스를 위해 기원전 600년경에 공중 정원을 건축했다고 합니다. 또한 '역사' 관련 문서에는 정원이 흙벽돌로 지은 지구라트 형태의 상승식 테라스였으며 온갖 식물이 있었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건물 지반은 면적이 37제곱미터에 달했으며 전체 구조물이 건조한 공기를 향해 23미터 정도 솟아 있었습니다. 바빌론의 식물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매일 정원에 31,040리터의 물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공중 정원이 실제로 존재했다면, 아마도 서기 1세기 무렵에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장 높은 층은 계단을 통해 도달할 수 있으며, 그 옆에는 물 엔진이 있습니다. 이 엔진에는 특별히 지정된 일꾼이 유프라테스 강물을 정원으로 계속해서 끌어올리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 스트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