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보이지 않는다면 파내면 됩니다. 이는 문명에서 가장 유서 깊고 실용적인 기술 중 하나인 채광의 기본적인 전제였습니다. 기원전 4000년경에는 신석기인들이 잉글랜드와 프랑스에서 부싯돌을 채집했고 고대 이집트인들은 기원전 2600년부터 기원전 2500년까지 마아디에서 공작석을 채집했습니다. 당시 이들은 장식 및 도자기에 사용되던 딱딱한 돌을 사용했습니다. 대부분은 노천 광산이나 30m 이내의 얕은 수갱이었으며, 20,000명이 넘는 노예가 노동에 동원되었던 아테네 라우리움의 은광산을 한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대규모의 채광 방식을 개발한 것은 로마의 공학가들이였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또 다른 기술인 수로를 건설하여 채광지에 물을 공급했고, 이 물을 사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광석과 바위 가루를 분리했습니다. 이는 초기 형태의 수력 채광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로마인들은 열분해 기법을 개발하여 바위를 박살냈습니다. 암면에 불을 피우고 균열이 생길 때까지 열을 가한 후 바위에 직접적으로 물을 붓는 방식이었습니다. 인간은 구리, 철, 보석, 금, 은을 비롯한 온갖 광물과 수정을 채광하기 시작했고, 로마의 채광 기법은 전 세계로 확산되었습니다.
유럽인들이 들어와 온갖 자원을 고국으로 실어 나르기 전까지만 해도 아시아와 아메리카의 채광 기법은 원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중세시대 말기에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광맥이 고갈되면서 심부 채광이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광부들은 수공구를 사용하여 수갱을 더욱 깊이 파 내려갔고, 목재를 이용하여 벽과 천장을 지지했습니다. 그러다가 1465년에는 광산을 너무 깊게 파낸 덕분에 수갱에 지하수가 차 오르면서 은 사태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장애물을 극복하기까지 약 100년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정과 삽은 화약을 이용한 폭발물로 대체되었습니다. 곧 이어 산업혁명이 일어나 석탄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자 채광은 기계화되었고 더욱 탐욕스러워졌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면 파내면 됩니다. 이는 문명에서 가장 유서 깊고 실용적인 기술 중 하나인 채광의 기본적인 전제였습니다. 기원전 4000년경에는 신석기인들이 잉글랜드와 프랑스에서 부싯돌을 채집했고 고대 이집트인들은 기원전 2600년부터 기원전 2500년까지 마아디에서 공작석을 채집했습니다. 당시 이들은 장식 및 도자기에 사용되던 딱딱한 돌을 사용했습니다. 대부분은 노천 광산이나 30m 이내의 얕은 수갱이었으며, 20,000명이 넘는 노예가 노동에 동원되었던 아테네 라우리움의 은광산을 한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대규모의 채광 방식을 개발한 것은 로마의 공학가들이였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또 다른 기술인 수로를 건설하여 채광지에 물을 공급했고, 이 물을 사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광석과 바위 가루를 분리했습니다. 이는 초기 형태의 수력 채광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로마인들은 열분해 기법을 개발하여 바위를 박살냈습니다. 암면에 불을 피우고 균열이 생길 때까지 열을 가한 후 바위에 직접적으로 물을 붓는 방식이었습니다. 인간은 구리, 철, 보석, 금, 은을 비롯한 온갖 광물과 수정을 채광하기 시작했고, 로마의 채광 기법은 전 세계로 확산되었습니다.
유럽인들이 들어와 온갖 자원을 고국으로 실어 나르기 전까지만 해도 아시아와 아메리카의 채광 기법은 원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중세시대 말기에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광맥이 고갈되면서 심부 채광이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광부들은 수공구를 사용하여 수갱을 더욱 깊이 파 내려갔고, 목재를 이용하여 벽과 천장을 지지했습니다. 그러다가 1465년에는 광산을 너무 깊게 파낸 덕분에 수갱에 지하수가 차 오르면서 은 사태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장애물을 극복하기까지 약 100년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정과 삽은 화약을 이용한 폭발물로 대체되었습니다. 곧 이어 산업혁명이 일어나 석탄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자 채광은 기계화되었고 더욱 탐욕스러워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