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인본주의협회에서는 세속적 인본주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1) 인간과 다른 생물을 윤리적 관점의 중심에 둔다. 2) 세상을 자연적인 장소로 인식하고 과학과 이유에 의존하여 이를 이해한다. 3) 모든 지역에서 인간이 번영할 수 있도록 힘쓰고 지원하며 모든 이의 인권을 옹호한다."
이러한 인본주의적 개념은 적어도 기원전 1500년 이래로 인도와 동양의 다양한 철학에서 존재해 왔습니다. 기원전 6세기에는 석가모니가 초자연적 현상과 '영혼'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를 표출했으며, 자라투스트라는 인간이 선택권과 작용에 의해 품위를 가지는 생각하는 존재라고 주장했습니다. 크세노파네스에서 플라톤에 이르는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인간적 이유라는 측면에서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에피쿠로스는 행복 실현을 위한 인간 중심적 접근 방식을 간결하게 요약했습니다. 중세 시대에는 대부분의 무슬림 학자들이 개인주의, 세속주의, 회의론 및 자유주의에 대한 저서를 통해 존재에 대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해석을 추구했습니다.
하지만 유럽 문명에는 인본주의가 뒤늦게 찾아왔습니다. 르네상스 시대까지 가톨릭 교리에 구속되어 있었던 인본주의를 부활시킨 것은 이탈리아 시인들의 '고전'에 대한 재발견 덕분이었습니다. 1300년대의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는 '인본주의의 아버지'로 자주 불립니다. 그는 키케로의 분실된 서신을 찾아 자국어로 번역했으며, 이 또한 르네상스의 시작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새로운 대학교의 학자들이 고전 연구(문법, 시, 수사학, 역사 및 도덕철학으로 이루어진 인문학)를 후원하는 일이 늘어났고 결과적으로는 깨달음에 대한 세속적인 접근 방식의 관념이 여러 국가로 확산되었습니다. 재발견되거나 새롭게 번역된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와 리비우스 등의 그리스어 및 로마어 필사본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고, 여기에 편승한 세속적인 작품들은 참신하고 근본적이었으며 심지어는 전위적 개념까지 보여주었습니다.
"인류의 네 가지 특징은 호기심, 자유정신, 좋은 취향에 대한 신뢰, 그리고 인류에 대한 신념이다." – E.M. 포스터
"인류에 대한 신뢰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 인류는 거대한 바다와 같아서, 몇 방울의 바닷물이 더러워졌다고 바다 전체가 오염되지는 않는다." – 마하트마 간디
영국 인본주의협회에서는 세속적 인본주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1) 인간과 다른 생물을 윤리적 관점의 중심에 둔다. 2) 세상을 자연적인 장소로 인식하고 과학과 이유에 의존하여 이를 이해한다. 3) 모든 지역에서 인간이 번영할 수 있도록 힘쓰고 지원하며 모든 이의 인권을 옹호한다."
이러한 인본주의적 개념은 적어도 기원전 1500년 이래로 인도와 동양의 다양한 철학에서 존재해 왔습니다. 기원전 6세기에는 석가모니가 초자연적 현상과 '영혼'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를 표출했으며, 자라투스트라는 인간이 선택권과 작용에 의해 품위를 가지는 생각하는 존재라고 주장했습니다. 크세노파네스에서 플라톤에 이르는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인간적 이유라는 측면에서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에피쿠로스는 행복 실현을 위한 인간 중심적 접근 방식을 간결하게 요약했습니다. 중세 시대에는 대부분의 무슬림 학자들이 개인주의, 세속주의, 회의론 및 자유주의에 대한 저서를 통해 존재에 대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해석을 추구했습니다.
하지만 유럽 문명에는 인본주의가 뒤늦게 찾아왔습니다. 르네상스 시대까지 가톨릭 교리에 구속되어 있었던 인본주의를 부활시킨 것은 이탈리아 시인들의 '고전'에 대한 재발견 덕분이었습니다. 1300년대의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는 '인본주의의 아버지'로 자주 불립니다. 그는 키케로의 분실된 서신을 찾아 자국어로 번역했으며, 이 또한 르네상스의 시작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새로운 대학교의 학자들이 고전 연구(문법, 시, 수사학, 역사 및 도덕철학으로 이루어진 인문학)를 후원하는 일이 늘어났고 결과적으로는 깨달음에 대한 세속적인 접근 방식의 관념이 여러 국가로 확산되었습니다. 재발견되거나 새롭게 번역된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와 리비우스 등의 그리스어 및 로마어 필사본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고, 여기에 편승한 세속적인 작품들은 참신하고 근본적이었으며 심지어는 전위적 개념까지 보여주었습니다.
"인류의 네 가지 특징은 호기심, 자유정신, 좋은 취향에 대한 신뢰, 그리고 인류에 대한 신념이다." – E.M. 포스터
"인류에 대한 신뢰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 인류는 거대한 바다와 같아서, 몇 방울의 바닷물이 더러워졌다고 바다 전체가 오염되지는 않는다." – 마하트마 간디